본문 바로가기

개발일기/개인용 클라우드 구축기3

개인용 클라우드 구축 (3) - WoL, 공유기 및 DDNS 설정 지난글에 이어서 하드웨어 조립은 완료했고 이젠 공유기를 통해 원격제어 및 네트워크 환경 구성을 해보려고 한다 WoL(Wake on LAN) 먼저 WoL을 통해 원격 부팅 세팅부터 해보려고 한다 보드에 랜포트가 두개인데 둘 다 공유기에 꽂아준다. 하나는 DMZ용, 다른 하나는 내부망용으로 쓰려고 한다 일단 WoL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설정해줘야 하는 부분은 세 가지가 있는데 메인보드 바이오스 설정 OS 설정 공유기 설정 을 해줘야 한다. WoL은 메인보드가 해당 기능을 지원해줘야 사용 가능한데 다행히 이 중국산 메인보드도 해당 기능을 지원해주더라 먼저 BIOS 부터 진입한다 BIOS 설정 제조사별로 WoL을 부르는 명칭이 다를 수 있고 검색하면 나오겠지만 요 메인보드 제조사의 바이오스 정보는 따로 검색할.. 2024. 3. 1.
개인용 클라우드 구축 (2) - 하드웨어 조립 지난 글에선 하드웨어 선정 및 가격을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선 하드웨어 조립기(삽질기)를 정리해보겠다 (하드웨어 조립은 너무나도 좋은 글들이 많기 때문에 필요한 부분만 정리하겠다) 준비물 Windows 부팅 USB Linux 부팅 USB (서버로 쓸거니까) CMOS 배터리 정밀 전동 드라이버 (있으면 진짜 편하다) 일단 조립한 모습은 이렇다 (케이스 핀 보드연결 아직 안함) 먼저 쿨러 사이의 공간에 2번 CPU (1번이 앞쪽)의 쿨러에 앞쪽 쿨링팬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쿨러 제품의 팬이 저 두께에는 맞지 않아서 좀 더 얇은 팬을 구매해야한다 (앞쪽 팬 크기는 140이 아니므로 더 작은걸 선택해도 된다 대충 130? 정도 되는 듯) 일단 중국산 X99 보드들은 램소켓 불량 등의 이슈가 있었으므로.. 2024. 2. 29.
개인용 클라우드 구축 (1) - 하드웨어 마련하기 퍼블릭 클라우드의 프리티어는 제공하는 리소스가 너무 적기 때문에 이것저것 모델을 만들어 보려면 개인적인 서버가 필요할 것 같아서 글을 쓰게 되었다. 나 같이 돈없는 주니어 개발자인데 개인적인 환경에서 워크스테이션을 마련해보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정보 공유해보고자 A-Z까지 정리해본다. (피드백은 너무나도 환영합니다!) 블로그 첫글인데 글솜씨가 없어도 양해 부탁드립니다 일단 내가 생각한 개인적인 서버환경 구성은 실제 서비스 환경처럼 구성해놓고 사용하는 것이 목표라 그 구성은 아래와 같다. Internet - DMZ | Firewall | Internal Subnet DMZ와 내부망을 크게 VM으로 두개 띄우는 것이 1차 목표고 추후 세팅하며 안에 인증서버, G/W, DNS 서버 등 추가할건데 이에 따라 대.. 2024.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