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일기/개인용 클라우드 구축기

개인용 클라우드 구축 (1) - 하드웨어 마련하기

by Volka 2024. 2. 28.

퍼블릭 클라우드의 프리티어는 제공하는 리소스가 너무 적기 때문에 이것저것 모델을 만들어 보려면 개인적인 서버가 필요할 것 같아서 글을 쓰게 되었다.

 

나 같이 돈없는 주니어 개발자인데 개인적인 환경에서 워크스테이션을 마련해보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정보 공유해보고자 A-Z까지 정리해본다.
(피드백은 너무나도 환영합니다!)

 

블로그 첫글인데 글솜씨가 없어도 양해 부탁드립니다

 

일단 내가 생각한 개인적인 서버환경 구성은 실제 서비스 환경처럼 구성해놓고 사용하는 것이 목표라 그 구성은 아래와 같다.

Internet - DMZ | Firewall | Internal Subnet

 

DMZ와 내부망을 크게 VM으로 두개 띄우는 것이 1차 목표고 추후 세팅하며 안에 인증서버, G/W, DNS 서버 등 추가할건데 이에 따라 대역대도 나누어 작업해볼 예정이다.

 

하드웨어 스펙

TOTAL : 약 142만원

CPU : Xeon E5 2697 V4 (18 core 36 Thread [2.30 / 3.60 GHz]) * 2 (각 9만 :: 18만) [중고]

Mainboard : MACHINIST X99 D8 MAX (15만)

RAM : ECC REG 32G DDR4 * 8 (각 5.6만 :: 44.8만) [중고]

Disk : M.2 1TB (하이닉스꺼) (12만)

Power : Delta GPS 1300CB [80 Platinum 1300W / 풀모듈러] (22만)

Case : ABKONCORE AL700 SYNC (9만)

공유기 : ipTIME T5004 (4만)

랜선 : CAT7 아무거나 * 3 (각 0.7만 :: 2.1만)

쿨러 : Thermalright FROST SPIRIT 140 BLACK V3 (각 7.7만 :: 15.4만)

GPU : GTX 1060 3G (없어도 되긴 하는데 Xeon엔 내장 그래픽이 없어서 터미널로 쓸 컴퓨터가 있지 않는 이상 OS 설치 및 설정을 위해서 필요함, OS설치 이후 본인이 AI할게 아니라면 원격으로 붙어서 설정 가능하다)

MACHINIST X99 D8 MAX

CPU

CPU 스펙은 아래 정도인데 지원하는 메모리의 최대 주파수가 2400MHz다.

Core : 18

Thread : 36

최대 터보 주파수 : 3.60 GHz

프로세서 기본 주파수 : 2.30 GHz

캐시 : 45 MB Intel® Smart Cache

TDP : 145 W

 

서버용으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물리 코어 수가 많은게 제일 중요했기 때문에 해당 CPU를 선택했는데 중고 제온을 게임용으로 구매하시는 분들도 있더라

게임용으로 구매할거면 대부분의 게임이 멀티 프로세싱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단일 코어의 클럭 수가 높은게 중요하므로 E5 V3 쪽을 찾아보는게 더 싸고 클럭수도 높을 것이다 (V4보다 V3쪽이 높더라)

메인보드

알리발 중국산 dual xeon 보드가 한창 핫했기 때문에 보드 선택은 어렵진 않았다

물론 당연히 예산문제가 크지만.. 당연히 메이저한 보드에 비해 신뢰도가 많이 떨어지는건 어쩔 수 없었다

보드 선택에는 발열, 소음 때문에 쿨러 좋은걸 장착하기 위해 CPU 간격이 최대한 떨어져 있는걸 찾아보았고 메모리도 최대 3200MHz까지 지원한다고 하여 해당 보드를 선택했다. 어차피 내부 칩셋은 전부 중고고 더 싼것도 있긴한데 그나마 이게 제일 괜찮아보이더라

그리고 알리발 메인보드는 배송 시 배터리는 안줘서 따로 구매해두면 좋다 (CMOS 배터리 [CR2032])

 

보드 최대 주파수가 초과하여 지원하더라도 프로세서가 지원 안하면 의미가 없으니 램은 2400MHz로 구매했다.

중국발 메인보드의 장점은 첫번째로 가격(사실 전부일지도..)과 해당 프로세서 소켓을 지원하는 메이저 보드와 달리 신품(물론 칩셋들은 중고)이고 M.2를 지원한다는 점이 아닐까 싶다.

 

RAM

램은 ECC REG DDR4 32G 2400MHz로 맞췄으며 해외직구를 잘 안해봐서 몰랐는데 물품가액이 150$ 이상이면 관세가 붙더라

요즘은 같은 날 도착해도 배송일이 다르면 각 150$에 맞춰서 관세 부가를 한다고 하니 참고하자! (만일 관세 부과 시 배송일 증명할 수 있는 자료 제출하면 된다더라.. 난 모르고 관세 내버림)

 

주의해야 할 점은 몇가지 더 있는데

ECC램은 일부 특정 규격의 경우 일반적인 메인보드에서도 사용 가능하다고 하는데 ECC REG는 보드가 지원 가능해야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ECC는 Error Correction Code고 REG는 (Registered)의 약자다

  • ECC : 에러 보정 기능
  • REG : 모듈간의 신호 간섭 문제로 더 많은 모듈을 붙일 수 없는 문제를 일종의 중계 장치인 버퍼 칩을 이용하여 해결한 제품

그냥 ECC RAM은 가격도 더 비싸고 굳이 REG가 아닌것을 선택할 이유는 없으므로 ECC REG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동안 게임용 데스크탑만 맞춰봤지 워크스테이션용으로 맞춰보는 것이 처음이라 파워, 케이스, 쿨러 선정이 제일 애먹었다.

 

파워

해당 CPU 모델이 풀로드시 최대 500W라는 글을 봤어서 파워 선정에 앗차했다

하지만 쿠팡에서 마침 델타 1300W 짜리를 20만원 초반에 파는걸 보고 얼른 구매했다 (보드를 보면 알겠지만 듀얼 CPU의 CPU 전원 공급 핀이 각 8핀이다. 구매한 파워는 8핀, 4+4핀까지 있어서 문제 없지만 파워를 다른거 구매하려는 사람들은 꼭! 체크해보고 구매하자)

그리고 실제 파워가 들어가는게 파워 제품의 표기된 와트 수만큼이 아니고 거기서 80% 정도로 계산하면 된다. (1300W -> 1040W)

 

쿨러

들어본 사람은 알겠지만 워크스테이션의 쿨러 소리는 정말 장난아니다

옛날 제품들이긴 한데 접해볼 일이 있어서 들어봤는데 절대 방안에 두고 쓸만한 소리는 아니었다(진짜 비행기 이륙하는 소리남)

그래서 쿨링 효과도 충분하면서 소음이 적은걸 계속 찾았는데 퀘이사존에 쿨링솔루션 제품 리뷰를 보면 쿨링효과, 소음 등 순위를 표로 정리한 것들이 있다

 

해당 부분 잘 참고하고 소음크기(데시벨)은 로그함수로 계산되므로 20 dBA와 30 dBA를 단순 50% 소음 증가로 계산하면 안된다!

듀얼이기 때문에 서로 증폭되는 부분도 있을거라 (케이스 팬 포함) 잘 신경써서 쿨러를 선택하면 좋다

또한 선택할 때 참고할 자료는 다나와를 보는 것도 편하다 (풍량, 소음, 크기, RPM 등 필요한 정보 다 제공 해줌)

 

내가 선택한 써멀라이트는 상당히 조용하고 쿨링 효과도 괜찮아서 너무 만족하면서 사용하고 있고 잘 때 켜놔도 될만하다

하지만 쿨러사이의 팬 하나가 두께로 인한 쿨러간 간섭 때문에 쿨러 하나는 두께 얇은 140 팬 하나 구해서 바꿔서 사용중이다.

동일 제품 살 사람은 참고 하면 될듯!

 

케이스

케이스 선택 시에도 문제가 있어서 지금은 그냥 대충 고정해서 사용중인데 알리에서 메인보드 제품 설명 상에는 폼팩터를 E-ATX라고 표기해놨지만 사실 E-ATX가 아니다

해당 메인보드의 폼팩터는 SSI EEB고 E-ATX와 크기는 같으나 스페이서(스탠드 오프 : 보드고정) 홀 위치가 맞지 않아 E-ATX 케이스를 구매하고 보면 고정이 불가능 한걸 알 수 있다 (몰라서 당했다)

 

하지만 SSI EEB 폼팩터를 지원하는 케이스는 일단 너무 비싸고 제품도 많지도 않다!

 

따라서 E-ATX 지원하는 케이스를 구매하여 드릴로 뚫거나 적당히 고정해서 쓰는걸 추천한다

(케이스에 E-ATX 지원한다고 써져 있으나 E-ATX를 달면 SSD 브라켓을 떼야하거나, 케이스 내부에 어떤 것들을 떼야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확인 잘 해보자!)

 

나는 드릴로 뚫을까 했는데 케이스간 쇼트만 안나게 CPU 브라켓 플라스틱을 접착제로 붙여서 대놨다..

데스크탑형 케이스라 세워쓰기 때문에 보드가 쏠리는건 I/O 실드 + 케이블 타이로 고정해놨다..

드릴 구해다가 뚫을까도 고민중인데 집에서 작업하면 뒷감당이 안될것 같아서 일단은 보류중인데 자세한건 다음 글 조립기(삽질기)에서 풀어보겠다

 

그리고 중국산 보드의 BIOS는 구형 BIOS고 메이저 브랜드의 보드와 달리 지원하는 기능이 적다.

 

서버를 항상 켜두는게 아니고 사용할 때만 원격으로 켜서 사용하려고 했는데 해당 보드는 WoL은 지원 안하고 (못 찾은걸 수도 있는데 안보임) 스마트 플러그를 이용해서 제어해보려고 하는데 BIOS에 전원 복구 시 켜지는 옵션이 안보여서 확인해봐야 한다 (못 찾은걸수도...)

 

다행히 보드에서 WoL 기능을 지원했다. 디폴트 설정이 Enable인 것 같긴 하지만 혹시 모르니 BIOS에서 설정해주자!

 

 

스펙 정리는 이 정도고 조립기는 다음글에서 풀어보겠다